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사상 차리는 법(Feat 홍동백서, 조율이시)

by bk222 2022. 9. 8.

설 명절 혹은 추석 때가 되면 제사상 차리는 방법 때문에 늘 혼란스럽습니다. 저희 집안도 큰 집에서 제사상을 차릴 때마다 참석하시는 어르신들에 따라서 상차림 위치에 대해 의견이 분분합니다. 제사를 자주 지내는 종갓집의 경우에는 아무것도 아닐 수 있겠지만, 고작해야 1년에 2번 차례상을 차리는 사람들에게는 매번 새로운 일이니 늘 헷갈리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사상차림과 관련해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 상차림표

제사상 차리는 법_출처: 서울시설공단

각 지역마다 지역별 특색이 있겠지만, 서울시설공단 사이트에서 장사문화와 관련된 정보가 게재되어 있어 이를 인용해서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여기서 서쪽이 좌측, 동쪽은 우측을 의미합니다. 위의 그림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더욱 쉬울 것 같습니다.

남좌여우(男左女右)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반서갱동(飯西羹東)

남자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남자조상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어동육서(漁東肉西)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두동미서(頭東尾西)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생동숙서(生東熟西)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는 왼쪽에 놓고 식혜(수정과등 삭힌음식)는 오른쪽에 위치한다

조율이시(藻栗梨枾)

보통 진열의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예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고 있다.
늘 보고 또 봐도 헷갈리지만, 이 글이 조금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지금 올리는 정보는 정답은 아닙니다. 각 집안의 상차림 방식에 따라 적절히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하고 있는 조율이시, 홍동백서 등의 내용은 사실 어떤 예서에도 나와있지 않다는 주장도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제사의 목적을 잊지말자 :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어떤 예서에도 나오지 않아...

최근에 조선일보에서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왔었네요.
https://news.v.daum.net/v/20220718201458006

유림 대표 "홍동백서·조율이시는 어떤 예서에도 나오지 않아"

“유교는 ‘꼰대’ ‘고리타분함’이라는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시대에 맞게 우선 차례(茶禮)와 제사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설문 조사를 거쳐 곧 발표하겠습니다.” 성균관유도회총본부

news.v.daum.net


기사 내용을 일부 발췌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는 “차례나 제사에 몇 가지 음식을 차려야 한다거나 홍동백서(紅東白西) 조율이시(棗栗梨枾) 등 상차림 예법은 어떤 책에도 없다”며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기준도 고려 말엔 3품 이상 관리만 3대(代), 조선 성종 때 ‘경국대전’에서도 고조부까지 모시는 사대봉사(四代奉祀)는 3품 이상 관리만 해당됐다”고 했다. 제사 풍속이 변한 것은 조선 말. 신분제가 무너지면서 너도나도 양반처럼 고조부까지 제사를 모시고 음식 가짓수도 늘어났다고 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조상을 기억하고 기리는 제사의 원래 취지는 잊힌 채 번거롭고 귀찮고 스트레스를 주는 대상이 돼버렸다는 것이다. 그는 “퇴계 등 종가의 제사 음식도 가짓수가 많지 않다”며 “일반 가정의 차례나 제사 음식은 밥, 국, 과일, 나물, 포와 술 등 10가지 내외로 줄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즉, 요약하자면 조상을 기리는 목적에만 맞는다면 상차림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상차림으로 싸우지 마시고, 목적에 맞는 상차림을 통해 차례를 잘 마치고 가족들과 기분좋은 연휴를 맞는 게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모두들 즐거운 명절 되세요!

제사상 차리는 법
반응형

댓글